트렌드: 기름 | | BITCOIN | EUR/USD | GBP/USD

유로, 부정적 압력 속 주간 하락세 기록할 듯

Economies.com
2025-09-26 05:05AM UTC

유로화는 금요일 유럽 시장에서 주요 통화에 비해 상승세를 보이며, 미국 달러화에 비해 3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데 이어 낮은 수준에서 눈에 띄는 매수 활동이 이어지면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반등에도 불구하고, 단일 통화는 한 달 만에 처음으로 주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강력한 경제 데이터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관계자들의 신중한 발언에 힘입어 미국 달러가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등 부정적인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가격 개요

• EUR/USD는 오늘의 개장 수준인 1.1665달러에서 약 0.15% 상승한 1.1682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최저 수준인 1.1657달러에 도달한 이후입니다.

• 유로화는 목요일 거래일 마감 시 달러화 대비 0.6% 하락하며 2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강력한 미국 경제 지표 발표에 따라 3주 만에 최저치인 1.164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주간 거래

오늘 결제로 공식적으로 끝나는 이번 주 동안 유로화는 미국 달러화에 비해 약 0.55% 하락하여 한 달 만에 처음으로 주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달러

달러 지수는 금요일에 약 0.1% 하락하여 3주 만에 최고치인 98.61포인트에서 후퇴했는데, 이는 주요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의 상승세가 멈췄음을 반영합니다.

이익 실현과 시정 조치 외에도, 미국 달러는 투자자들이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월간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새로운 롱 포지션을 구축하지 않으면서 좁은 범위 내에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는 낙관적인 미국 경제 데이터와 신중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논평에 힘입어 가장 좋은 투자 수단으로 강력한 매수세를 끌어들이면서 2개월 만에 가장 큰 주간 상승세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미국 경제가 2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2분기에 성장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었지만, 주간 실업수당 신청 건수는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데이터를 따르고 CME FedWatch 도구에 따르면, 10월에 연준이 금리를 25베이시스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92%에서 88%로 떨어졌고, 금리를 유지할 확률은 8%에서 12%로 상승했습니다.

유럽 금리

• 소식통에 따르면 ECB 정책 입안자들은 향후 2년 동안 금리가 낮아질 것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망에도 불구하고 2%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 소식통에 따르면 유로존이 또 다른 큰 경제적 충격을 겪지 않는 한, 차입 비용은 당분간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 10월에 ECB가 금리를 25베이시스포인트 인하할 경우의 통화 시장 가격은 현재 10% 정도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트레이더들은 ECB의 추가 완화에 대한 베팅을 줄였으며, 이는 올해 금리 인하 주기가 끝났음을 시사합니다.

• 이러한 기대치를 재평가하기 위해 투자자들은 향후 기간 동안 일련의 유럽 경제 데이터 발표와 ECB 관계자들의 논평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둔화로 엔화 가치 8주 만에 최저치로 하락

Economies.com
2025-09-26 04:26AM UTC

일본 엔화는 금요일 아시아 시장에서 주요 및 비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 하락하며 미국 달러화 대비 3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8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외환 시장에서 엔화 매도 압력이 지속되면서 엔화는 거의 두 달 반 만에 최대 주간 하락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9월 도쿄의 근원 물가상승률은 경제학자들의 예상치를 밑돌았으며, 이는 일본은행 정책 입안자들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적으로 완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과적으로 10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아졌습니다.

가격 개요

• USD/JPY는 오늘의 개장가 ¥149.79에서 ¥149.96으로 0.1% 이상 상승하여 8월 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최저치는 ¥149.33이었습니다.

• 엔화는 목요일에 달러화 대비 0.6% 하락하여 2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강력한 미국 경제 지표로 인해 10월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주간 거래

• 오늘 결제로 공식적으로 끝나는 이번 주 동안 엔화는 미국 달러에 비해 약 1.35% 하락하여 5주 연속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며, 7월 초 이후 가장 큰 주간 하락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개월 반 만에 최악의 주간 실적은 일본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미국 달러의 강세, 미국 수익률 상승에 기인하며, 강력한 경제 데이터와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논평에 뒷받침됩니다.

도쿄 핵심 인플레이션

오늘 일본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도쿄의 9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5%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인 2.8%를 밑돌았습니다. 8월에도 2.5% 상승하며 3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안정적인 가격은 일본은행 정책 입안자들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여, 올해 일본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낮춥니다.

일본 금리

• 위 데이터에 따르면, 일본은행이 10월에 25베이시스포인트의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시장 가격은 50%에서 35%로 하락했습니다.

• 이러한 기대치를 재평가하기 위해 투자자들은 일본의 인플레이션, 실업률, 임금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위험 감수성 약화로 6% 이상 폭락

Economies.com
2025-09-25 20:31PM UTC

목요일에 강력한 미국 경제 데이터가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 감수 성향이 약해지면서 이더리움이 하락했습니다.

최종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미국 GDP는 전년 대비 3.8% 성장한 반면, 1분기는 0.6% 감소했습니다.

목요일에 발표된 노동부 수치에 따르면, 9월 20일로 끝나는 주에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14,000건 감소해 218,000건으로, 7월 중순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예상치는 233,000건으로 증가했습니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총재 제프리 슈미트는 지난주 25베이시스포인트의 금리 인하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위험에도 불구하고 노동 시장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더리움

GMT 기준 21시 29분, 이더리움은 CoinMarketCap에서 6.1% 하락한 3,907.7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아프리카 최대의 미개발 유전이 아직 생산을 시작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Economies.com
2025-09-25 17:17PM UTC

나미비아 오렌지 분지에서 진행된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의 비너스(Venus) 프로젝트는 석유 업계 경영진의 눈을 반짝이게 하고 각국 정부에게는 막대한 수익을 꿈꾸게 하는 발견입니다. 2022년 2월에 발표된 이 프로젝트는 수십 년 만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규모의 발견 중 하나로 빠르게 인정받았으며, 약 15억 배럴의 경질유(45° API)와 4.8조 세제곱피트의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대감은 엄청납니다. 생산량은 하루 최대 15만 배럴로 추산되며, 이 유전은 30~40년간 생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분 구조는 글로벌 자본과 현지 참여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토탈에너지(TotalEnergies, 45.25%),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 35.25%), 나미비아 국영 석유 회사 남코르(Namcor, 10%), 그리고 영국의 임팩트 오일 앤 가스(Impact Oil & Gas, 9.5%)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석유 생산 경험이 없는 나미비아에게 비너스 유전은 2030년까지 국가 GDP를 최대 20%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비너스의 약속은 그 도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이 유전은 매우 깊은 바닷속(해수면 아래 3,000m, 해상에서 300km)에 위치해 있어 세계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해상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 수반 가스의 복잡성까지 더해져 협상을 지연시키는 분쟁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나미비아는 국내 발전량 증대를 위해 이 가스를 육상으로 운반하고자 하는 반면, 토탈에너지는 낮은 암반 투과율을 고려하여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스를 저류층에 재주입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나미비아 정부는 이 문제를 단순한 에너지 문제 차원을 넘어 장기적인 수익 확보와 국내 발전 기반 구축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면 토탈에너지는 이러한 접근이 상업적 실현 가능성을 눈앞에 둔 프로젝트에 비용과 위험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TotalEnergies는 이미 나미비아의 현실을 반영하여 생산 계획을 조정했습니다. 당초 하루 20만 배럴의 생산 능력을 갖춘 더욱 야심 찬 전략을 제시했지만, 현재는 15만 배럴로 축소되었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급격한 초기 이익 창출보다는 7~8년간 안정적인 생산량 유지를 통해 생산량보다는 가치에 집중하는 회사의 광범위한 전략과 연계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Shell의 철수 이후 TotalEnergies는 나미비아에서 거의 유일한 주요 기업이 되었으며, 향후 모든 인프라(잠재적 LNG 플랜트, 파이프라인 또는 기타 시설)는 TotalEnergies의 몫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생산 기간을 연장하면 이러한 고비용 투자를 충당할 수 있는 장기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긴장감이 현재 진행 중인 협상의 핵심입니다. 네툼보 난디-은다이트와 대통령은 이 문제를 자신의 직속 감독 하에 두고, 협상을 총괄할 대통령 직속 석유 부서를 신설했습니다. 우려되는 점은 명확합니다. 나미비아는 가이아나의 사례를 반복하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가이아나는 1999년 엑손모빌과의 계약에서 단 2%의 로열티를 받아들였는데, 이는 현재 신흥 석유 생산국에 부정적인 모델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나미비아는 더욱 강경한 입장에서 토탈에너지와 협상에 돌입하고 있습니다. 토탈에너지 CEO 패트릭 푸야네는 2029년 첫 생산 목표를 달성하려면 올해 말까지 최종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현재 진행 중인 의견 차이를 고려하면 이미 달성이 어려워 보이는 일정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경제적 타당성 또한 쟁점입니다. 토탈에너지(TotalEnergies)는 손익분기점을 배럴당 20달러로 제시했는데, 이는 현실적인 평가라기보다는 협상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유사한 심해 프로젝트 비용이 배럴당 약 35달러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엑손모빌의 가이아나 프로젝트(수심 1,700m)와 페트로브라스의 브라질 선염전(수심 2,000m)이 이를 잘 보여줍니다. 수심 3,000m가 넘고 총 지질학적 깊이가 6,300m에 달하며 가스 대 석유 비율이 높은 비너스(Venus)는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저류층의 가스 함량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재주입 및 처리 계획을 설계하기 어렵고, 이는 비용 불확실성을 가중시킵니다. 분석가들은 가스가 예상보다 풍부할 경우 재주입으로 인해 수익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쉘의 최근 경험은 분명한 경고를 던집니다. 2025년 초, 쉘은 나미비아 해안에서 진행된 PEL 39 사업 라이선스에 대해 4억 달러를 탕감하고, 저류층 품질이 낮고 가스 함량이 높아 상업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 후 존커, 그래프, 에니그마 유정의 개발을 포기했습니다. 이러한 투자 회수는 오렌지 분지의 모든 유전이 개발 가능한 것은 아니며, 금성 역시 막대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질학적, 경제적 제약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보여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미비아는 새로운 에너지 허브로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석유 사업 외에도 독일 투자자들과 함께 2027년에서 2028년 사이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인 100억 달러 규모의 친환경 수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비화석 에너지 시장으로의 진출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비너스 에너지가 초석이기는 하지만 유일한 축은 아니라는 다각화 전략을 보여줍니다.

TotalEnergies에게 Venus는 아프리카 투자의 규모와 위험성을 모두 반영합니다. 아프리카 대륙은 현재 TotalEnergies 운영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탐사 예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성장 목표는 나미비아, 앙골라, 가봉의 LNG 및 해상 석유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나미비아 프로젝트는 미개척 탐사의 어려움을 상징합니다. 정치적, 환경적 문제로 케이프타운 해상 유전 개발권을 포기한 후 202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철수한 것은 이 지역의 운영 환경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지정학적 요인은 또 다른 차원을 더합니다. 중국은 이미 나미비아 우라늄 채굴에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로 자리매김했으며, 재생에너지 및 인프라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에너지 상공회의소(African Energy Chamber)는 중국의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상하이에 사무소를 개설했는데, 이는 전략적 대륙 이동을 시사합니다.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의 경우, 정부와의 지연이나 분쟁은 경쟁사의 입지를 강화하여 프랑스 기업의 장기적인 입지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너스 프로젝트는 엄청난 기회이자 동시에 심각한 시험대이기도 합니다. 이론적으로는 2030년까지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의 현금 흐름을 크게 증가시키고 나미비아의 경제 궤도를 재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엄청난 기술적 난관, 투자자 수익과 국가적 야망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재정 조건 마련의 필요성, 그리고 불안정한 지정학적 배경 등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가스, 수입, 인프라 관련 문제가 조만간 해결된다면 비너스는 이번 10년의 획기적인 석유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비용, 정치, 그리고 경쟁의 무게에 짓눌려 거대한 개척 에너지 사업 기회가 어떻게 좌절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가 될 것입니다.